네트워크

라우터

더the덕 2022. 2. 21. 09:30

AS(Automomous System) ->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라우터 들의 집단

(라우터 들을 AS라는 그룹으로 묶어주는 이유는 라우터가 가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좀 더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함)

AS내부에서 사용하는 Interior Routing Protocol -> RIP, IGRP, EIGRP, OSPF)

AS외부에서 사용하는 Exterior Routing Protocol -> EGP, BGP

 

 

라우터

->라우터의 목적 Path Determination(경로 결정) 그리고 Switching(스위칭)

가장 좋은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서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이런 라우팅 알고리즘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관리를 함

 

라우팅프로토콜 -> 경로안내를 해주는 프로토콜 (RIP, IGRP, OSPF, EIGRP)

라우티드 프로토콜 ->TCP/IP, IPX, AppleTalk등 라우티드 프로토콜은 라우팅을 당하는 프로토콜

라우티드는 자동차에 탄 승객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은 라우팅 프로토콜 / 자동차는 라우터

===============================================================

스태틱 라우팅프로토콜 -> 경로를 일일 히 지정하며 작은 네트워크상에서는 효율이 좋다.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 -> 유기적으로 경로가 빠른 곳으로 라우팅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라우터가 할 일이 많아지니 라우터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라우터가 어떤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함.

사용하는 라우터의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지며 최적의 경로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함
!!!!!중요한 부분은 라우팅 경로설정!!!!

 

 

 

 

스위치
–>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

처리 가능한 패킷의 숫자가 큰 것으로 네트워크 단위 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로서 소규모 통신을 위한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개선됨   

<L2, L3, L4 스위치가 존재>

L2 스위치에서는 MAC ADDREESS가 중요!

L2 정보인 이더넷 헤더의 목적지 MAC주소와 MAC AddressTable을 비교 후 출구 포트를 결정

Known Unicast트래픽은 Forwarding처리를하고 Unknown UnicastBroadcast트래픽은 Flooding을 수행함 / 모든 포트는 하나의 공통된 Broadcast Domain에 포함되어있음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

라우터 -> L3장비이며 L3정보인 IP헤더와 목적지 IP주소와 자신의 주소록인 Routing Table을 비교하여 최적경로를 결정

Known Unicast트래픽은 Forwarding처리 하고 Unknown UnicastBroadcast트래픽은 다른 Interface로 전송하지 않음!!

L3 스위치는 포트간 패킷 스위칭을 위해 패킷의 IPIPX주소를 읽어서 스위칭을 하며 통신 경로를 한번 만 설정 한 뒤 해당 프로토콜을 쓰는 패킷에 대해 스위칭이 가능하며, IPIPX주소가 OSI 7계층 중 3계층에 해당 하여 Layer3스위치라고 함